자산유동화증권(ABS)
1. 자산유동화증권(ABS) 개요
① 자산유동화증권(ABS, Asset Backed Securities) 개념
- 기업, 금융기관 보유 자산을 표준화하고 특정 조건별로 집합(Pooling)하여 증권을 발행한 것
- 증권 발행 후 기초자산 현금흐름을 이용하여 증권을 상환
- 일반적으로 유동성이 낮은 자산을 대상으로 함
② ABS 기초자산 요건
- 자산 집합(Pooling)이 가능하도록 동질성이 있는 자산
- 현금 흐름 예측이 용이한 자산
③ ABS 특징
- 자산보유자의 신용도와 분리되어 자산 자체 신용도로 발행
- ABS의 신용도는 기초자산 신용도와 신용보강 등에 의해 결정
- ABS는 투자자 선호에 부합하여 증권을 설계하므로 일반적으로 다계층증권(Tranche) 발행
- 기초자산에 비해 구조 다양화, 신용도가 보강되어 자산 보유자보다 높은 신용도의 증권으로 발행
④ ABS의 구분
- 상환 확정 여부에 따른 구분 (상환확정형, 비상환확정형)
상환확정형 자산 | 주택저당채권, 대출채권, 자동차할부채권 |
비상환확정형 자산 | 기업매출채권, 신용카드채권, 미래현금흐름 |
≫ 정리
자산유동화증권(ABS, Asset Backed Securities)는 기업, 금융기관이 보유한 자산을 표준화하고 특정 조건별로 집합(Poolig)하여 증권을 발행한 것을 의미한다.
증권 발행 후 기초자산의 현금흐름을 이용하여 증권을 상환하며, 일반적으로 유동성이 낮은 자산을 대상으로 한다.
ABS의 기초자산이 되기 위해서는 자산 집합(Pooling)이 가능하도록 동직성이 있고, 현금 흐름을 예측하는 것이 용이한 자산이어야 한다.
ABS는 자산보유자의 신용도와 분리되어 자산 자체의 신용도로 발행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때, ABS의 신용도는 기초자산 신용도와 신용보강 등에 의해 결정된다.
ABS는 투자자 선호에 부합하여 증권을 설계하므로 일반적으로 다계층증권(Tranche)로 발행된다.
또한, 기초자산에 비해 구조가 다양화되고, 신용도가 보강되어 자산 보유자보다 높은 신용도의 증권으로 발행된다.
ABS는 상환 확정 여부에 따라서 상환확정형과 비상환확정형으로 구분된다.
상환확정형 자산으로는 주택저당채권, 대출채권, 자동차할부채권이 있으며 비상환확정형 자산으로는 기업매출채권, 신용카드채권, 미래현금흐름이 있다.
2. 자산유동화의 기본구조
① 자산보유자 (Orginator)
- 보유 중인 기초자산을 특수목적기구(SPV)에 양도하고 대가를 수취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주체
- ABS 프로그램의 실질적 수혜자
② 특수목적기구 (SPV, Special Purpose Vehicle)
- 자산보유자로부터 받은 기초자산을 분리하여 양수받고 ABS를 발행하는 유동화전문회사
- SPV(SPC)는 자산보유자와 기초자산과의 법률적 관계를 끊고, ABS 목적만으로 설립되고 운영
- 현금흐름의 투명한 관리가 가능하며, 목적 달성 후 청산도 용이함
③ 자산관리자 (Servicer)
- SPV(SPC)는 페이퍼 컴퍼니이므로, SPC를 대신하여 기초자산을 관리하는 역할
- 일반적으로 채무자와 관련된 자산보유자가 자산관리자가 됨
④ 수탁기관 (Trustee)
- 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SPV를 대신하여 원리금상환 등 실무업무 담당
- 일반적으로 신용도가 높은 은행이 수탁기관이 됨
⑤ 신용평가기관
- ABS를 공모하려면 신용평가기관의 신용평가 필요
-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한국신용정보, 서울신용정보 등
⑥ 신용보강기관 (Credit Enhancer)
- 신용보강을 통해 자산유동화증권의 상환안정성을 높이는 역할
≫ 정리
ABS의 자산유동화 기본 구조는 자산보유자, 특수목적기구, 자산관리자, 수탁기관, 신용평가기곤, 신용보강기관 등으로 이루어진다.
자산보유자는 ABS 프로그램의 실질적 수혜자이며 보유 중인 기초자산을 SPV에 양도하고 대가를 수취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주체다.
특수목적기구 SPV는 자산보유자로부터 받은 기초자산을 분리하여 양수받고 ABS를 발행하는 유동화전문회사이다. SPV or SPC는 자산보유자와 기초자산과의 법률적 관계를 끊고, ABS 목적으로만 설립되고 운영된다. SPV는 현금흐름의 투명한 관리가 가능하며, 목적 달성 후 청산도 용이하다.
자산관리자는 페이퍼 컴퍼니인 SPV를 대신하여 기초자산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채무자와 관련된 자산보유자가 자산관리자가 된다.
수탁기관은 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SPV를 대신하여 원리금상환 등 실무업무를 담당한다.일반적으로 신용도가 높은 은행이 수탁기관이 된다.
신용평가기관은 ABS를 공모하기 위해 필요한 신용평가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한국신용정보, 서울신용정보 등이 있다.
신용보강기관은 신용보강을 통해 자산유동화증권의 상환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3. ABS 발행 효과와 종류
① ABS의 발행 효과
- 자산보유자 혜택
→ 정상적으로 처분하기 힘든 자산의 유동화에 성공시켜 유동성 확보, 재무안정성 강화
→ 조달 비용이 회사채 발행보다 낮아서 유리
- 투자자 혜택
→ ABS는 신용이 보강된 다양한 투자 수단을 제공하므로 투자 선택의 다양성 확보
② ABS의 종류
CBO (Collateralized Bond Obligation) |
회사채를 기초자산으로 한 ABS |
CLO (Collateralized Loan Obligation) |
금융기관의 대출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한 ABS |
MBS (Mortgage Backed Securities) |
주택저당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함 우리나라는 2002년 한국주택금융공사 출범으로 활성화되기 시작 |
Credit Card ABS | 카드매출채권, 카드론 등을 기초자산으로 한 ABS |
부동산PF ABS | 부동산 개발사업에서 발생하는 현금흐름을 기초자산으로 한 ABS |
새로운 유동화자산 | 부실채권, 세수, 공연수입, 무형자산 등 |
≫ 정리
ABS의 발행은 자산보유자와 투자자 모두에게 혜택을 준다.
자산보유자는 정상적으로 처분하기 힘든 자산의 유동화에 성공시켜 유동성을 확보하고 재무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으며, 조달 비용이 회사채 발행보다 낮아서 자금 조달 면에서도 유리하다.
투자자 입장에서 ABS는 신용이 보강된 다양한 투자 수단을 제공하므로 투자 선택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
ABS는 기초자산에 따라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회사채를 기초자산으로 한 ABS는 CBO라 한다.
금융기관의 대출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한 ABS는 CLO라 한다.
주택저당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한 ABS는 MBS라 한다.
카드매출채권, 카드론 등을 기초자산으로 한 ABS는 Credit Card ABS라 한다.
부동산 개발사업에서 발생하는 현금흐름을 기초자산으로 한 ABS는 부동산PF ABS라 한다.
이외에도 새로운 유동화 자산으로는 부실채권, 세수, 공연수입, 무형자산 등이 있다.
4. 자금이체방법에 따른 분류
① 지분이전증권 (Pass-through)
- 기초자산에서 발생한 현금흐름이 그대로 투자자에게 이전
- 자산보유자는 부외효과(Off-Balance)가 있음
- 투자자는 위험을 그대로 이전받기 때문에 위험이 큼
- 우리나라에서는 일부 사모방식을 제외하고는 거의 사용하지 않음
② 원리금이체체권 (Pay-through)
- 기초자산에서 발생한 현금흐름을 기초로 하되 SPC가 적립, 조정한 현금흐름을 투자자에게 지급
- 통상적으로 복수의 트랜치 구조를 지님(Senior-Mezzanine-Junior)
- 우리나라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식
≫ 정리
ABS는 자금이체방법에 따라서 지분이전증권과 원리금이체체권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분이전증권(Pass-through)은 기초자산에서 발생한 현금흐름이 투자자에게 그대로 이전된다.
자산보유자는 부외효과(Off-Balance)가 있으며 투자자는 위험을 그대로 이전받기 때문에 위험이 크다.
우리나라에서는 일부 사모방식을 제외하고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원리금이체체권(Pay-through)은 기초자산에서 발생한 현금흐름을 기초로 하되 SPC가 적립, 조정한 현금흐름을 투자자에게 지급한다.
통상적으로 복수의 트랜치 구조를 지니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식이다.
5. ABCP(자산유동화기업어음)의 발행
- 법상 다양한 제약 조건이 있고 유동화 계획에 대한 금융감독원 승인이 필요한 ABS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 2006년 ABCP 도입
- ABS는 유동화 증권이 회사채 형태인 반면, ABCP는 기업어음(CP) 형태로 발행
- ABCP는 ABS에 비해 기업의 자금 조달 비용이 낮음
- 추후 자산유동화전자단기사채(ABSTB, Asset Backed Short Term Bond) 시장도 도입
- ABCP와 ABSTB는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에 따르지 않으므로 비등록유동화증권
≫ 정리
- ABS는 법상 다양한 제약 조건이 있고 유동화 계획에 대한 금융감독원 승인이 필요한 ABS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 2006년 ABCP 도입
- ABS는 유동화 증권이 회사채인 반면, ABCP는 기업어음(CP) 형태로 발행
- ABCP는 ABS에 비해 기업의 자금 조달 비용이 낮음
- 추후 자산유동화전자단기사채 ABSTB 시장도 도임
- ABCP와 ABSTB는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에 따르지 않으므로 비등록유동화증권으로 분류된다.
5. 신용보강방법
- 유동화증권은 부도 시 원리금 상환을 보장하기 위해 신용 보강이 필요함
방법 | 종류 |
내부신용보강 | - 상환순위설정 (후순위증권 발행) - 현금흐름 차액적립 (초과스프레드) - 풋백옵션(Put Back Option): ABS 원리금 상환 문제 발생 시 자산보유자의 재매입 의무화 - 초과담보설정 - 예치금방식 |
외부신용보강 | - 지급보증: 가장 일반적인 외부보강방식 - 신용공여 |
≫ 정리
유동화증권은 부도 시 원리금 상환을 보장하기 위해 신용 보강이 필요하며, 신용보강방법에는 내부신용보강과 외부신용보강이 있다.
내부신용보강의 종류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상환순위설정 (후순위증권발행)
- 현금흐름 차액적립 (초과스프레드)
- 풋백옵션: ABS 원리금 상환 문제 발생 시 자산보유자의 재매입 의무화
- 초과담보설정
- 예치금 방식
외부신용보강의 종류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지급보증 (가장 일반적인 외부보강방식)
- 신용공여
6. 자산별 유동화구조의 특성
- 자동차할부금융의 유동화구조에서는 할부금융 연체율이 가장 중요
- 기업매출채권은 자산보유자의 신용등급이 낮을수록 발행 니즈가 크기 때문에 신용도가 높은 ABS로 구조화하기 어려움
- 부실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할 경우 이를 통한 현금흐름을 추출하는 것이 필요한데, 무수익자산의 경우 경매를 통한 청산스킴이 도입될 수 있음
- 신용카드채권은 기본적으로 단기채권이므로, 단기채권의 만기를 장기화하기 위해 리볼빙구조가 선호됨
≫ 정리
ABS에서 유동화하는 구조는 자산마다 다르다.
자동차할부금융의 유동화구조에서는 할부금융 연체율이 가장 중요하다.
기업매출채권은 자산보유자의 신용등급이 낮을수록 발행 니즈가 크기 때문에 신용도가 높은 ABS로 구조화하기 어려움
부실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할 경우 이를 통한 현금흐름을 추출하는 것이 필요한데, 무수익자산의 경우 경매를 통한 청산스킴이 도입될 수 있음
신용카드채권은 기본적으로 단기채권이므로, 단기채권의 만기를 장기회하기 위해 리볼빙구조가 선호됨
'투자자산운용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자산운용사: 1과목 (금융상품) - 퇴직연금제도 (2) | 2025.06.20 |
---|---|
투자자산운용사: 1과목 (금융상품) - 주택저당증권(MBS) (2) | 2025.06.19 |
투자자산운용사: 1과목 (금융상품) - 집합투자기구 명칭, 관계회사 (2) | 2025.06.17 |
투자자산운용사: 1과목 (금융상품) - 사모집합투자기구에 대한 특례 (2) | 2025.06.17 |
투자자산운용사: 1과목 (금융상품) - 집합투자증권의 보관 및 관리 (1) | 2025.06.16 |